IT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약자로 전기통신,방송,정보처리,컴퓨터네트워크,컴퓨터하드웨어,컴퓨터소프트웨어,멀티미디어,통신 망등 사회기반을 형성하는 유형 및 무형의 기술분야를 총망라하여 이르는 말
IoT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아 스스로 분석하고 학습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이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
서버
웹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시스템을 말한다. 서버는 우리말로 레스토랑에서 '시중드는 사람'정도로 비유할수있다.
우리는 주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포털사이트를 이용하고,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쇼핑몰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어플리케이션은 서버 컴퓨터에 파일의 형태로 저장되어있습니다.
웹서버
사용자로부터 HTTP를 통해 요청을 받거나, 웹 컨테이너가 전달해준 결과물을 정적인 페이지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응답해주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웹페이지는 주로 HTML CSS 자바스크립트 등으로 구성됩니다
웹컨테이너
웹서버가 전송해준 요청을 기초로 동적인 페이지를 생성하여 웹서버로 돌려줍니다. 동적인 페이지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사용자마다 다른 결과로 응답할 수 있기 때문인데 간단한 예로 로그인이 있습니다.
WAS
Web Application Server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할수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로 컴퓨터에서 운영체제(윈도우,리눅스 등)와 같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라고 할수있습니다. WAS는 웹서버와 웹 컨테이너를 포함한 개념입니다.
톰캣이 대표적인 예이며 그외에 웹로직 웹스피어 등의 제품이 있습니다.
포트
포트를 직역하면 항구라는 뜻인데,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있는 통로를 말합니다.
인터넷에서는 IP주소를 통해 서버 컴퓨터의 위치를 파악합니다. 그런다음 그 컴퓨터가 제공하는 특정서비스는 포트 번호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이용하는 인터넷상의 모든 서비스는 IP주소와 함께 포트번호까지 지정해야 제대로 요청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HTTP는 80번 포트를 , 보안이 적용된 HTTPS는 443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HTTP
보통 www라고 줄여쓰는 월드 와이드 웹 world wide web에서 웹 서버와 사용자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사용자가 요청하면 웹서버가 응답하는 단순한 구조의 프로토콜입니다. HTTPS는 암호화된 HTTP입니다.
프로토콜
protocol은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절차 혹은 통신 규약을 말합니다. 한국인과 미국인이 각자의 모국어로만 말한다면 제대로 소통할 수 없겠죠? 컴퓨터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때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컴퓨터들이 대화하는데 필요한 공통 언어 역할을 해줍니다. HTTP도 프로토콜의 한 종류이고, 다른 프로토콜로는 파일 전송을 위한 FTP, 이메일 전송을 위한 SMTP등이 있습니다.
MRCP 프로토콜
Media Resource Control Protocol 음성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 다양한 서비스 ( 음성 인식 및 음성 합성 등 ) 를 제공하는 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클라우드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의
컴퓨팅 리소스에 언제든지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쉽게 말해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한 서버를 빌려주는 것으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서버,스토리지,데이터베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바로 엑세스 할 수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가상화된 형태로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IT 자원을 필요한 만큼 빌려쓰는 개념으로
알면 되겠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서비스가 출현하고 관련 기술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념도 지속적으로 변화해 가고 있습니다.
인터넷 상의 서버에 단순히 자료를 저장하는 것 뿐만 아니라,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웹에서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동시에 문서를 공유하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운용 관리 비용의 절감과 구축 스피드 향상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SaaS
Software as a Service 의 약어로 직역하면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지칭합니다.
과거에 소프트웨어는 각각의 PC에 설치해야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설치한 후 제 각각 다른 기기 환경으로 인해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또한, 몇 십대의 PC에 설치하게 되면 들어가게 되는 비용도 커지고 관리도 힘들어집니다.
2000년대에 들어 고속의 통신 환경이 정비되면서 벤더편에 두었던 소프트웨어를 사용자가 브라우저 경유로 이용하는 모습의 형태가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브라우저 경유 모델의 서비스는 광회선의 보급과 함께 일반화되었고, 진화를 거듭하여 SaaS라는 형태로 발전되었습니다.
예를 들자면, Google이 제공하는 Gmail과 Google 닥스 등 일련의 어플리케이션 및 Salesforce처럼 많은 비즈니스 서비스들의 형태가 SaaS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데몬
유닉스(Unix) 운영체제에서 부팅 시 자동으로 켜져,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되는 프로세스
유닉스와 리눅스 차이점
Unix는 독점 운영 체제이고 Linux는 오픈 소스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누구나 Linux의 소스 코드를 보고 수정할 수 있지만 Unix에서는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Linux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Unix는 구입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듈(module)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로, 관련된 데이터와 함수를 하나로 묶은 단위를 의미합니다.
파싱
Parsing은 문서나 html등 어떤 큰 자료에서 내가 원하는 정보만 가공하고 추출해서 원할 때 불러올 수 있게 하는 것.
파싱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파서라고 부른다.
API
API는 프로그램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도와주는 매개체
1. API는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출입구 역할을 한다.
2. API는 애플리케이션과 기기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3. API는 모든 접속을 표준화한다. 범용 플러그처럼 작동한다.
게이트웨이(gateway, 문화어: 망관문)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를 두루 일컫는 용어,
즉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이다.
전처리
분석하기 좋게 데이터를 고치는 모든 작업을 데이터 전처리(preprocessing)라고 한다.
실제로 데이터 사이언스 전 과정에서 분석 알고리즘 자체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하는 과정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
보통 80~90%의 시간이 data preprocessing에 소요됨.
STT
(Speech-to-Text), Voice Recognition 또는 인공 청각이라고도 표현합니다.
뜻 그대로 사람의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텍스트(문자)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것.
TTS
문자를 사람 음성으로 변환해 주는 기술 ‘Text to Speech’를 줄여 ‘TTS(텍스트 음성 변환)’라고 칭합니다.
ASP
동적으로 서버에서 작동하는 페이지 ( Active Server Pages)
*반응에 의한 변화가 없고 고정적인 HTML은 정적인 페이지에 해당됨.
예를 들면 HTML 페이지에서는 새로고침을 아무리 눌러도 현재 시간이 변하지 않지만,
ASP 페이지에서는 새로고침을 누를때마다 현재 시간이 바뀌는 것을 볼수있다.
ASP 는 어떤 특별한 과정을 거쳐서, 작성자의 의도대로 HTML 을 바꿀 수 있는 것이다.
NLP
인간의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기술: 자연어 분석, 이해, 대화 관리, 발화 생성정규 문법, 사전 정보를 활용하여 형태소 분석, 품사 인식, 구문 분석, 의미 추론 수행
NLU
NLU란 자연어 표현을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다른 표현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뜻한다. 형태소 분석이나 구문 분석과 같은 자연어 처리 (NLP)와 혼용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나 자연어 이해 (NLU)가 더 큰 개념으로 단순히 단어나 문장의 형태를 기계가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아닌, 의미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연어 이해 (NLU) 기능의 예를 들자면 "문장의 의도 분류" , "서로 다른 언어간 번역 문장 생성", 자연어 질문에 대한 답변 추출 등이 있다.
LLM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와 AI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우 큰 규모의 언어 모델을 말한다. 이러한 모델은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언어 이해, 생성, 번역 등 다양한 NLP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MPCP 서버 (MPCP Server)
MPCP는 Multi-Purpose Control Program for Distributed Computing의 약자로, 분산 컴퓨팅을 위한 다목적 제어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MPCP 서버는 이러한 분산 컴퓨팅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를 담당하는 서버를 의미합니다.
IVR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은 자동 응답 시스템으로, 전화를 걸어오는 고객이 메뉴를 선택하거나 음성 인식 기술을 통해 응답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IDPBX (Internet Protocol Private Branch Exchange)
IDPBX는 IP 기반의 사설 전화교환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전화교환 시스템에 비해 효율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이그레이션 (Migration)
마이그레이션은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의 이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새로운 하드웨어로 이전하는 것이 마이그레이션의 하나입니다.
쿠버네티스 (Kubernetes)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성이 좋고 확장성이 높은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SSL체크 (SSL Check)
SSL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SSL 인증서는 인터넷 통신에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SSL 체크를 통해 인증서가 유효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Health체크 (Health Check)
시스템이나 서비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웹 서버의 health check를 수행하여 웹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컴파일러
컴파일러 (Compiler)는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인 목적 코드(어셈블리어 또는 기계어로 된 코드)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과정을 컴파일이라고 합니다.
RFP
Request For Proposal의 약자로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담당할 업체를 선정하기 전에, 요구사항을 정리하여 후보 업체들에게 전달하는 문서
SV
SV(화자 확인)는 음성 신호 측정에서 주장된 신원을 인증하는 생체 인식 기술입니다. SV 시스템은 액세스 제어, 은행 및 통신을 비롯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SV 시스템은 화자의 음성 특징인 음성 신호에서 특징을 추출하여 작동합니다. 그런 다음 이러한 기능을 스피커 음성의 참조 모델과 비교합니다. 기능이 충분히 유사하면 화자가 인증됩니다.
SV 시스템은 텍스트 종속적이거나 텍스트 독립적일 수 있습니다. 텍스트 기반 SV 시스템에서는 화자가 등록 및 확인 중에 특정 구 또는 단어를 말해야 합니다. 텍스트 독립형 SV 시스템은 화자가 구체적으로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SV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등가 오류율(EER)이라는 메트릭을 사용하여 평가됩니다. EER은 시스템이 화자를 잘못 인증한 시도의 백분율입니다.
AICC
AICC(인공지능 컨택센터)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고객 서비스에 대한 자동화 및 지원을 제공하는 콜센터입니다. AICC 시스템은 음성 인식, 자연어 처리 및 기계 학습을 사용하여 고객 요청을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챗봇, 인공 지능 상담사 및 자동화된 이메일 응답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여 고객 서비스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E2E
E2E는 end-to-end의 약자입니다. 음성 인식에서 E2E 접근 방식은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직접 변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인 음성 인식 시스템은 음성 신호를 특징으로 변환한 다음 특징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예측합니다. E2E 접근 방식은 특징 추출 단계를 제거하여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Kaldi
Kaldi는 E2E 음성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Kaldi는 훈련 및 평가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세트와 도구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Kaldi를 사용하여 음성 인식 시스템을 빠르고 쉽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바이너리 파일
바이너리 파일은 데이터의 저장과 처리를 목적으로 0과 1의 이진 형식으로 인코딩된 파일을 가리킵니다
I/O
I/O는 입력(Input)/출력(Output)의 약자로, 컴퓨터 및 주변장치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그램, 운영 혹은 장치를 일컫는 말입니다.
'STUDY > for Develo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Brackets] 브라켓 설치 · Plug-in (0) | 2023.01.16 |
---|---|
[Chrome] 개발자도구 DevTools로 코드 분석하기 (0) | 2022.12.25 |
[Apache Axis] Apache Axis2란? (0) | 2022.12.21 |
[IT] D드라이브 생성 - 파티션 나누기 (0) | 2022.12.19 |
[IT] 신입 개발자 면접 예상 질문 정리 (3)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