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System.exit()은 무엇일까?
·
STUDY/JAVA
System.exit() 강제적으로 JVM을 종료시키고 싶을 때는 System 클래스의 exit() 메소드를 호출하면 됩니다. exit() 메소드는 현재 실행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exit() 메소드는 int 매개값을 지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값을 종료 상태값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정상 종료일 경우 0으로 지정하고 비정상 종료일 경우 0이외의 다른값을 줍니다. System.exit(0); //정상종료 System.exit(1); //비정상종료 System.exit(0)은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호출되며, System.exit(1)은 프로그램이 오류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호출됩니다 System.exit()메서드는 어떤 값을 주더라도 종료가 되..
[JAVA] Logging이란?
·
STUDY/JAVA
Logging이란? Log : 시스템 동작 시 시스템 상태, 작동 정보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록한 것 Logging : 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기록인 Log를 생성하도록 시스템을 작성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저장된 Log는 사용자의 패턴이나 시스템 동작 자체의 분석에 사용될 수 있으며 해킹이나 침입 등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동작의 기록을 통해 감사 추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Logging의 장점 Log는 재현하기 힘든 버그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 Log는 성능에 관한 통계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설정이 가능할 때, Log는 예기치 못한 특정 문제들을 디버그하기 위해, 그 문제들을 처리하도록 코딩하지 않아도 일반적인 정보를 갈무리할 수 있음 Java.util.logging Java.util...
[Vert.x] 버텍스(Vert.x)란?
·
STUDY/Vert.x
Vert.x란? 자바의 비동기 소켓서버 프레임워크입니다. = 비동기적인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툴킷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일반적으로 요청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면서 작업을 처리합니다. 이것을 동기식 처리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요청이 많을수록 처리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Java Vert.x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벤트 기반 및 비동기식 프로그래밍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고, 요청이 많을 때도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Vert.x는 데이터 베이스, 파일 처리 그리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든 부분을 비동기 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I/O 부하가 심한 대규모 서비스를 개발하기에 적절한 프레임워크라고 ..
[JAVA] JavaBean이란
·
STUDY/JAVA
웹사이트는 디자이너와 프로그래머가 함께 개발 합니다. 프로그래머가 JSP페이지를 작업시 자바코드 만을 입력하게 되면 소스가 길어지고 디자이너 입장에서 알아보기 힘듭니다. 디자이너가 JSP 페이지를 수정하기 힘들어 효율이 떨어 집니다. 그래서 등장한것이 JAVA Bean 입니다. 일반적으로 정보를 표현할 때에는 자바빈(java bean)의 형태를 갖는 클래스를 사용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회원정보, 게시판 글 등의 정보를 출력할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자바빈 객체를 사용하게 됩니다. 자바빈(JavaBean) 모듈화된 MVC에서 View가 JSP라면, M(Model)에 해당하는 것이 Bean 입니다. 모델이 프로그램 로직을 가지고 있고 DB와 연동을 해서 작업을 하듯이 자바빈도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
[JS] 음악 및 오디오 플레이어 Javascript 라이브러리
·
STUDY/JavaScript
Amplitudejs https://github.com/serversideup/amplitudejs GitHub - serversideup/amplitudejs: AmplitudeJS: Open Source HTML5 Web Audio Library. Design your web audio player, the way you w AmplitudeJS: Open Source HTML5 Web Audio Library. Design your web audio player, the way you want. No dependencies required. - GitHub - serversideup/amplitudejs: AmplitudeJS: Open Source HTML5 Web A... github.com A..
[jQuery] onload 와 ready 차이점
·
STUDY/jQuery
$(document).ready(function(){ alert('ready'); }); $(window).onload(function(){ alert('onload'); }); 호출 시점의 차이 실행순서 : .ready() → .onload() 순으로 실행 호출시점 : $(document).ready 의 호출 시점 : 1~2번 과정이 완료되어 DOM Tree 생성이 완료된 후 호출 $(window).onload 의 호출 시점 : 모든 과정이 완료되어, 웹 페이지가 다 구성된 후 호출 웹 브라우저의 HTML문서 렌더링 과정 불러오기(Loading) 불러오기는 HTTP 모듈 또는 파일시스템으로 전달 받은 리소스 스트림(Resource Stream)을 읽는 과정으로 로더(Loader)가 이 역할을 맡고 있다..
[JAVA] 데몬스레드란?
·
STUDY/JAVA
deamon thread 데몬스레드는 주 스레드의 작업을 돕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스레드이다. 주 스레드가 종료되면 데몬 스레드는 강제적으로 자동 종료된다. (그이유는 주 스레드의 보조 역할을 하므로 존재의미가 없어지기 때문) 이 점을 제외하면 일반스레드랑 크게 차이가 없다. 데몬스레드 적용 예: 워드프로세서의 자동저장, 미디어플레이어의 동영상 및 음악재생, 가비지컬렉터 등 이 기능들은 주 스레드(워드프로세스,미디어플레이어,jvm)가 종료되면 같이 종료 스레드를 데몬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주 스레드가 데몬이 될 스레드의 setDaemon(true)를 호출해 주면 됨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utoSaveThread thread = new AutoSav..
[Web]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이란?
·
STUDY/WEB
Cookie 브라우저에 저장 되는 데이터 웹브라우저에서 서버로 어떤 자원을 요청(request)을 하면 요청하는 대상이 jsp페이지라면, 요청을 받았을때 서버에서는 해당 jsp 파일이 처리가 되면서 쿠키라는 조그만 데이터가 담겨있는 조각을 생성하게 됩니다. 서버는 브라우저에 응답해주어야 하므로 reponse객체가 있는데, 그 reponse 헤더 안에 쿠키 정보를 추가해서 응답을 줍니다. 그걸 받은 브라우저는, 브라우저 내에 쿠키저장소에 해당 쿠키값을 저장해둡니다. 이렇게 서버가 만들어둔 쿠키값을 응답받아서 저장해두는 이유는 필요 시에 사용하기 위함입니다. 나중에 해당 서버로 요청(request)을 할때마다 그 서버가 발급해준 쿠키를 무조건 포함해서 보내게 되어있습니다. 서버에서는 그 요청(requ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