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IP 로 GitLab 접속하기
회사 사설IP 에 들어가서 깃랩 계정을 만듭니다
사설 IP(Private IP) 주소는 공유기가 노트북, 스마트 TV, 휴대폰 등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 할당한 내부 IP 주소를 의미합니다.
사설 IP 주소는 IANA가 확보한 사설 IP 주소 범위 내에서 할당되며 인터넷에 노출되지 않습니다.
전 세계에는 수백만 개의 사설 네트워크가 존재하며 사설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는
다음 사설 IP 대역 내의 IP 주소가 할당됩니다.
- 클래스 A: 10.0.0.0~10.255.255.255
- 클래스 B: 172.16.0.0~172.31.255.255
- 클래스 C: 192.168.0.0~192.168.255.255
Eclipse의 Git Repositories탭으로 확인했을 떄, 기존의 프로젝트에 git이 연결되어있으면,
Remotes > delete remote와 Team > disconnect를 해주고 폴더에서 .git 소스를 지워줍니다
깃랩 사이트에서 그룹생성 > 프로젝트생성 (리드미 파일은 충돌될수있으니 체크 없애기)
다음 단계는 새로 생긴 gitlab 도움말 command line instruction 을 보고 그대로 진행하면 됩다
cmd로 프로젝트를 GitLab에 push하기
1) 프로젝트의 HTTP 주소 복사하고 gitbash 를 엽니다.
2) cd 와 ls 명령어를 통해 프로젝트가 있는 폴더로 이동하거나 ,
해당 프로젝트의 폴더에서 우클릭하여 gitbash 를 엽니다.
cd 명령어 - 디렉터리 이동 명령어
cd [디렉토리 경로] | 이동하려는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현재 디렉토리 |
cd .. | 한 단계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
cd $변수명 | 변수에 저장된 경로로 이동 |
cd ~ cd &HOME cd |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이동 |
cd ~계정명 | 입력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이전 경로로 이동 |
ls 명령어 -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목록
ls (옵션) (경로:생략하면 현재 위치)
ls -l | 자세히 보기 |
ls -a | 모든 파일 보기 (숨김파일까지) |
ls -r | 역순으로 보기 |
ls -R | 하위 디렉토리 끝까지 보기 |
ls -t | 시간순으로 보기 |
ls -Irt | 위에서 아래로 시간순으로 자세히 보기 |
3) 해당 폴더를 git 관리하에 들어가게 해야하므로
git init
4) 현재 파일이 어떤 git과 연결되어있는지 확인하고
git remote -v
5) 다른 곳에 연결되어있다면 기존 git 연결 끊고
git remote remove origin
6) 새로운 원하는 git 주소와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새 원격 저장소 http 주소
7) 현재 파일이 어떤 git과 연결되어있는지 확인
git remote -v
8) 잘 연결되었으면 상태 확인하고
git status
9) 모든 파일을 올립니다
git add.
10) 파일 전체 다 잘들어갔는지 상태 확인하고
git status
11) commit 과 메세지 남기기
git commit -m "first commit"
12) 커밋 히스토리 조회하기
git shortlog
13) 푸시하기
git push origin main
오류가뜨지않으면 성공
14) GitLab에서 프로젝트 업로드 확인
'TOOL > V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lipse][SVN] SVN 플러그인 커넥터 설치 및 연동 (0) | 2023.01.05 |
---|---|
[GIT] GitLab 팀원 members 추가 (0) | 2023.01.04 |
[GIT] Eclipse에서 GitLab 프로젝트 내려받기 (0) | 2023.01.04 |
[GIT] git 설치 방법 + EGit 플러그인 (0) | 2023.01.03 |
[GIT] GitLab을 이용한 형상 관리 계획 총정리 (0) | 2023.01.03 |